blog.naver.com/errorsoft666/221695261264
[리눅스] 리눅스에서 웹 서버 구축하기(Centos 7)
윈도우에서는 비트나미(Bitnami)를 이용해서웹 서버를 구축해 보았는데리눅스에서는 간단히패키지 설치를 ...
blog.naver.com
[리눅스] 리눅스에서 웹 서버 구축하기(Centos 7)
윈도우에서는 비트나미(Bitnami)를 이용해서
웹 서버를 구축해 보았는데
리눅스에서는 간단히
패키지 설치를 통해 웹 서버를 구축하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root 로그인 및 패키지 업데이트하기
패키지 설치를 위한 yum 명령어는 root 권한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su 명령어를 통해 root 사용자로 바꿔주세요.
그리고 yum update 명령어를 입력하여 패키지 리스트를 업데이트 시켜줍니다.
2. httpd 설치
httpd(http daemon)를 설치하는 명령어입니다.
httpd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며 요청을 받아들여 처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웹 서버를 구축하기 위해서 없어서는 안 될 프로그램입니다.
3. php 설치
php 엔진을 설치하는 명령어입니다.
SSS(Server Side Script) 언어 중 하나인 php를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php는 동적인 웹 페이지를 작성할 수 있게 합니다.
일반적인 html 파일로는 정적인 웹 페이지
즉, 우리의 눈에 보이는 버튼이나 이미지 밖에 출력하지 못합니다.
php와 같은 언어를 사용하면 계산한 결과를 출력한다거나
로그인 페이지에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검증을 하는 등의
여러 프로그램을 짤 수 있습니다.
4. 데이터 베이스 설치
데이터 베이스를 설치하는 명령어입니다.
5. 설치됐는지 확인
rpm -qa httpd php mariadb
위의 명령어를 이용하여 패키지가 제대로 설치됐는지
확인해줍니다.
6. 방화벽 설정
대부분의 리눅스에서는 iptables 명령어를 사용하지만
Centos에서는 firewall-cmd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써주셔서
http 서비스와 80포트를 허용시켜주고 확인해주세요.
7. httpd 실행
웹 서버를 구동시키는 명령어입니다.
1 ~ 6번 과정을 다하셨어도 7번을 안 하시면 웹 서비스를 하지 못합니다.
systemctl start httpd 명령어를 사용하셔도 되지만
재부팅을 하고 나면 httpd가 꺼져있어 명령어를 매번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그러나 systemctl enable httpd를 입력하면
재부팅을 해도 프로그램이 계속 실행됩니다.
8. ip를 확인한 후 웹 브라우저에 입력
ifconfig로 ip를 확인한 후....
윈도우에서 웹 브라우저를 띄워서
주소창에 ip를 입력해서 위와 같은 화면이 뜨면
제대로 웹 서버 구축이 완료된 것입니다!
[출처] [리눅스] 리눅스에서 웹 서버 구축하기(Centos 7)|작성자 제이
'이것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당 스파이크란 (0) | 2023.03.23 |
---|---|
개인정보 제3자제공, 처리위탁, 양도 (0) | 2021.04.22 |
2021년 노임단가 (0) | 2020.12.21 |
WMO 코리아 개인정보 유출 사고 발생... 회원 주의 당부 (0) | 2020.12.01 |
2020년 적용 SW기술자 평균 임금 공표 (0) | 2020.11.26 |